XDJ-RX1(이하 RX1)과 XDJ-RR(이하 RR)은 파이오니어 DJ의 올인원 DJ 시스템으로, 둘 다 Rekordbox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USB를 통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유사하지만,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에서 주요 차이점을 정리해 드릴게요.
1. 출시 시기와 포지셔닝
- RX1: 2015년에 출시된 XDJ-RX 시리즈의 첫 모델로, 당시 파이오니어의 중급 이상 올인원 시스템을 대표했습니다. 클럽 환경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려는 목적이었죠.
- RR: 2018년에 출시되었으며, RX 시리즈보다 더 가볍고 저렴한 "초중급" 모델로 포지셔닝되었습니다. 휴대성과 접근성을 강조한 제품입니다.
2. 디자인과 휴대성
- RX1:
- 무게: 약 9.1kg으로 무겁고 크기가 큽니다(폭 728mm x 깊이 411mm x 높이 104mm).
- 구성: 더 견고한 빌드 퀄리티와 프로페셔널한 느낌의 재료 사용.
- 휴대성: 이동성은 덜하지만, 집이나 스튜디오에서 고정적으로 쓰기에 적합.
- RR:
- 무게: 약 5.2kg으로 RX1보다 43% 가볍습니다(폭 625mm x 깊이 388mm x 높이 74mm).
- 구성: 플라스틱 소재를 더 많이 사용해 가볍고 컴팩트함.
- 휴대성: 집 밖 파티나 소규모 공연에 들고 다니기 훨씬 편리합니다.

3. 사운드와 출력
- RX1:
- 더 높은 출력과 풍부한 사운드 퀄리티를 제공합니다. 믹서와 드라이버의 품질이 RR보다 우수해 클럽 수준의 사운드에 더 가까워요.
- 외부 입력(RCA Phono/Line 2쌍)과 부스 출력(1/4")을 지원해 턴테이블이나 추가 미디어 플레이어를 연결 가능.
- RR:
- 출력과 사운드 깊이가 RX1보다 약간 떨어집니다. 초보자나 소규모 환경을 타겟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이에요.
- 외부 입력은 AUX RCA 하나만 제공하며, 부스 출력은 없습니다.
4.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스
- RX1:
- 7인치 디스플레이지만 터치스크린이 아니라 버튼과 로터리 셀렉터로 조작.
- 인터페이스는 당시 기준으로 직관적이지만, 후속 모델(RX2, RR)에 비해 구식 느낌이 있습니다.
- RR:
- 7인치 디스플레이로 RX1과 크기는 같지만, 컬러 웨이브폼을 지원해 시각적으로 더 현대적입니다(단, 터치스크린은 아님).
- RX1보다 약간 개선된 UI와 조작성을 제공합니다.


5. 효과(FX)와 퍼포먼스
- RX1:
- Beat FX: 8개 (예: Echo, Delay, Reverb 등).
- Sound Color FX: 4개 (Filter, Noise 등)로 더 다양한 효과를 제공.
- 퍼포먼스 패드가 없고, 대신 4개의 물리 버튼(Hot Cue, Beat Loop 등)이 각 덱에 있습니다.
- RR:
- Beat FX: 3개 (Echo, Reverb, Flanger)로 축소됨.
- Sound Color FX: 4개 (Filter, Noise, Dub Echo, Pitch)로 RX1과 동일한 수지만 종류가 조금 다릅니다.
- 퍼포먼스 패드 4개가 각 덱에 있어 RX1보다 현대적인 조작 가능(단, RX2의 8개 패드보다는 적음).
6. 조그 휠과 컨트롤
- RX1:
- 조그 휠이 더 크고 무겁게 설계되어 정밀한 조작에 유리합니다. 피치 페이더도 길어 BPM 조정이 더 세밀해요.
- 크로스페이더와 업페이더가 더 부드럽고 프로페셔널한 느낌.
- RR:
- 조그 휠이 작고 가벼운 터치 감응식으로, RX1만큼의 묵직함은 없지만 반응성은 좋습니다.
- 피치 페이더가 짧아 미세 조정에서 RX1에 비해 불리할 수 있어요.

7. 연결성과 확장성
- RX1:
- 마이크 입력 2개(콤보 XLR/Jack), 부스 출력, 외부 입력 2쌍 등 연결 옵션이 풍부해 프로 DJ 환경에 적합.
- USB 포트 2개로 듀얼 DJ 세션이나 녹음 가능.
- RR:
- 마이크 입력 1개(XLR/Jack), 외부 입력은 AUX만 제공. 부스 출력 없음.
- USB 포트 2개로 기본 기능은 유지되지만, RX1만큼의 확장성은 떨어집니다.
8. XDJ-RR의 기본 녹음 기능
- XDJ-RR에는 두 개의 USB-A 포트가 있으며, 오른쪽 포트(USB 2)는 마스터 출력을 WAV 파일(44.1kHz, 16비트)로 녹음할 수 있습니다. 녹음은 "MASTER REC" 버튼을 눌러 시작하며, USB 드라이브에 "PIONEER REC" 폴더로 저장됩니다.
- 하지만 이 기능은 USB 드라이브로 직접 저장하는 방식이고, 노트북으로 실시간 저장은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.

9. 노트북으로 실시간 녹음 가능 여부
XDJ-RR에서 노트북으로 실시간 녹음을 하려면 추가적인 연결과 설정이 필요합니다. XDJ-RR은 자체적으로 노트북에 오디오를 스트리밍하거나 녹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운드카드 기능을 내장하고 있지 않습니다.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:
방법 1: Rekordbox Performance 모드 사용
- 설정: XDJ-RR을 USB-B 포트를 통해 노트북에 연결하고, Rekordbox 소프트웨어를 "Performance 모드"로 실행합니다. 이 모드에서는 XDJ-RR을 컨트롤러로 사용하며, 믹싱이 소프트웨어 내에서 처리됩니다.
- 녹음: Rekordbox 상단의 [REC] 아이콘을 클릭해 녹음 패널을 열고, [REC] 버튼으로 녹음을 시작하면 노트북에 직접 저장됩니다(기본 경로: Music > Rekordbox > Recordings).
- 제한: 이 방법은 USB 드라이브 대신 노트북의 Rekordbox 라이브러리에서 음악을 플레이할 때만 적용됩니다. USB 드라이브로 플레이하는 경우엔 오디오가 소프트웨어로 전달되지 않아 녹음이 안 됩니다.
방법 2: 외부 오디오 인터페이스 사용
- 설정: XDJ-RR의 마스터 출력(XLR 또는 RCA)을 외부 오디오 인터페이스(예: Focusrite Scarlett, Audient iD4 등)에 연결하고, 인터페이스를 노트북에 USB로 연결합니다.
- 녹음: 노트북에서 Audacity, GarageBand, 또는 Rekordbox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인터페이스 입력 신호를 실시간으로 녹음합니다.
- 장점: USB 드라이브로 플레이하더라도 마스터 출력을 그대로 캡처할 수 있어 XDJ-RR의 독립 실행(standalone) 모드와 호환됩니다.
- 단점: 추가 장비(오디오 인터페이스)와 케이블이 필요하며, 약간의 설정(입력 레벨 조정 등)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방법 3: Rekordbox Link Export 모드 (제한적)
- XDJ-RR은 Link Export 모드를 지원하는데, USB 드라이브 없이 노트북의 Rekordbox 라이브러리를 직접 탐색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도 Performance 모드처럼 소프트웨어 내에서 녹음이 가능하지만, USB 드라이브로 플레이하는 음악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결론
- USB 드라이브로 플레이하면서 실시간 녹음: XDJ-RR 단독으로는 노트북에 실시간 저장이 불가능합니다. 외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야만 가능해요.
- Rekordbox로 플레이하면서 실시간 녹음: USB-B로 노트북에 연결하고 Performance 모드를 사용하면 Rekordbox에서 바로 녹음할 수 있습니다.
- 추천: 가장 간단한 방법은 USB 드라이브에 녹음 후 파일을 노트북으로 옮기는 것이지만, 실시간으로 하고 싶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는 게 가장 유연한 해결책입니다.
10. 가격
- RX1: 출시 당시 약 $1,500~$1,700 수준이었고, 현재 중고 시장에서 $800~$1,000 정도.
- RR: 출시 당시 약 $1,000~$1,100으로 더 저렴하며, 중고는 $600~$800 사이.
결론: 어떤 모델이 나에게 맞을까?
- XDJ-RX1 추천:
- 클럽 환경이나 프로페셔널한 세팅을 연습하고 싶을 때.
- 더 풍부한 사운드와 다양한 효과, 외부 장비 연결이 필요할 때.
- 휴대성보다는 고정된 공간에서의 안정적인 사용이 우선이라면.
- XDJ-RR 추천:
- 가볍고 컴팩트한 스피커를 원하며, 주로 집이나 소규모 파티에서 사용할 때.
- 예산이 제한적이고 초보자 수준에서 시작하려 할 때.
- 최신 컬러 웨이브폼과 약간 더 현대적인 UI를 선호한다면.